경주이씨 인물 과거/월성군파◆인물

월성군 6세손 연와공(蓮窩公) 이말손(李末孫)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2. 10. 12:08

월성군 6세손 연와공(蓮窩公) 이말손(李末孫)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②판서공(判書公) 양직(良直) → 5世孫 ①현감공(縣監公) 사강(思剛) → 6世孫 ②연와공(蓮窩公) 말손(末孫)


○號는 연와(蓮窩)요. 세종(世宗) 갑진생(甲辰生) 선교랑(宣敎郎)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 증직(贈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를 받다. 서종(瑞宗) 을해후(乙亥後)에 퇴우남주(退寓南州)하야 여귀래향(與歸來享) 고령신공말주(高靈申公末舟)로 창령상종(唱呤相從)하더니 유시(有詩)에 운(云). 낙진산화압수서(落盡山花鴨水西)요. 광가호방도방제(狂歌浩放到芳堤)라. 치애천리무궁한(䦯涯千里無窮恨)이라. 부춘동황사우제(付春東凰社宇啼)로다. 축실우두류산하(築室于頭流山下)하고 둔세이종(遯世而終). ○墓는 오산동(鰲山洞)에 을좌(乙坐)요. 족인(族人) 종씨찬행장(鍾氏撰行狀)하다. 유석물(有石物).
○配는 숙부인(淑夫人) 남원양씨(南原梁氏) 진사(進士) 숭복(崇福)의 女.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1424(세종 6)-? 조선전기의 충신. 호는 연와(蓮窩). 본관은 경주(慶州). 남원 출신. 소판공(蘇判公) 거명(居明)의 후예. 상서우복사(尙書右僕射) 지수(之秀)의 7세손, 이조참의(吏曹參議) 사강(思剛)의 아들. 어려서부터 기품이 호매(豪邁)하여 정의를 위하여 백절불굴(百折不屈)의 용맹을 떨쳤다. 단종때 선교랑(宣敎郞)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로 있는데 1455년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은거하면서 벼슬을 버리고 순창(淳昌)에 은거중인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와 종유하였다. 서로 만나 읊었던 시 가운데 “落盡山花鴨水酒 狂歌浩放到芳堤 䦯涯千里無窮恨 付着東風杜宇啼”라는 구절이 전해진다. 두류산(頭流山) 밑에 초당을 짓고 세상을 등지고 벗들과 자연을 즐기다가 세상을 떴다. 후에 조정에서 절의(節義)를 가상히 여겨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증직하였다.

*[참고문헌] 정은록, 남원군지, 전라문화의 맥과 전북인물


◈濟用監主簿贈工曹參議蓮窩公家狀(제용감주부증공조참의연와공가장) <역문>
-后孫(후손) 承雨(승우) 述(술)
https://yongjaegong.tistory.com/1417


◈贈通政大夫工曹參議蓮窩慶州李公墓碣銘(증통정대부공조참의연와경주이공묘갈명) 幷序(병서) <역문>
-宗裔孫(종예손) 鍾醇(종순) 謹撰(근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18



연와공 이말손 가계도(蓮窩公 李末孫 家系圖)

禮曹判書公 文科 李良直(예조판서공 문과 이양직) ═ 慶州崔氏(경주최씨) 判事 崔安濬(판사 최안준)의 女
  ├縣監公 文科 李思剛(현감공 문과 이사강) ═ 淑人(숙인). 坡平尹氏(파평윤씨) 尹希或(윤희혹)의 女
  │ ├司憲府執義公 文科 李季孫(사헌부집의공 문과 이계손)
  │ ├蓮窩公 工曹參議 李末孫(연와공 공조참의 이말손)
  │ │ ||
  │ │淑夫人(숙부인). 南原梁氏(남원양씨) 進士 梁崇福(진사 양숭복)의 女
  │ │   └奉常寺奉事公 李有慶(봉상시봉사공 이유경)
  │ │        ||
  │ │      南陽洪氏(남양홍씨) 監司 洪麟蹤(감사 홍인종)의 女
  │ │           ├繕工監公 李舜年(선공감공 이순년)
  │ │           ├將仕郎公 李益年(장사랑공 이익년)
  │ │           └順陵參奉公 李湯年(순릉참봉공 이탕년)
  │ │
  │ └女 ═ 全州崔氏(전주최씨) 崔慶男(최경남)
  │
  ├追巖公 文科 李臻綱(추암공 문과 이진강)
  ├女 ═ 安東金氏(안동김씨) 同知 金宗淑(동지 김종숙)
  ├女 ═ 司正 吳可義(사정 오가의)
  └女 ═ 司正 兪彌(사정 유미)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