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용인문화대전] 이은동(李銀同)
*디지털용인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yongin/toc/GC00900906
http://aks.ai/GC00900906
항목 ID : GC00900906
한자 : 李銀同
영어음역 : Lee Eundong
분야 : 역사/전통 시대,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 인물/문무 관인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 장필기
[상세정보]
성격 : 관노
출신지 : 경기도 용인시
성별 : 남
본관 : 경주
[정의]
조선 전기 용인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이영발(李英發)이고, 이명민(李命敏)의 조카이다.
[활동사항]
1453년(단종 1) 이명민(李命敏)이 수양대군이 일으킨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황보인 등과 함께 살해되자 조카 이은동은 연좌(緣坐)되어 관노가 되었다. 1468년(세조 14)에 임금의 병이 심하여 세자(世子)가 계유년(癸酉年) 이래의 난신(亂臣)의 숙질(叔姪)과 자매(姉妹) 중 연좌자(緣坐者) 200여 인을 방면하였다.
이 때 이명민(李命敏)의 조카인 이은동은 다른 형제인 이맹준(李孟準)·이은철(李銀哲)·이흥조(李興祖)·이영조(李榮祖)·이철동(李哲同)·이환승(李煥昇)·이연동(李年同)·이말손(李末孫)·이오을(李吾乙)·이미동(李未同)·이잉질동(李芿叱同)·이중동(李仲同) 등과 함께 방면되었다.
그러나 난신역적(亂臣逆賊)에 연좌된 자로서 나이 성년(成年)이 되면 다시 여러 군읍(郡邑)에 예속시켜 노비(奴婢)로 삼는 규례에 따라 1482년(성종 13)에 강진(康津)의 관노(官奴)가 되었다. 그 뒤 1491년(성종 22)에 고신(告身)을 되돌려 받고 풀려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용인문화대전] 이은동(李銀同) 묘(墓)
*디지털용인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yongin/multimedia/GC009P1710
http://aks.ai/GC009P1710
설명문 : 조선 전기 경기도 용인시 출신의 난신적자(亂臣賊子)인 이은동 묘역.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이영발(李英發)이고, 이명민(李命敏)의 조카이다.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저작권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작 : ㈜다할미디어
제작일자 : 2008년 8월 27일
'주요인물 (二) > 충민공◇이명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흥민씨세보] 충민공 사위 민보해(閔甫諧) (0) | 2023.07.18 |
---|---|
[양천허씨세보] 충민공 처부 허비(許扉) (0) | 2023.07.18 |
[25집 龍湖閒錄 二] 三一七, 東國文獻院宇篇 (0) | 2018.12.11 |
[정조실록] 장릉 배식단에 배향할 사람의 명단 (0) | 2018.12.11 |
[성종실록] 간원의 서경 거부가 부당을 아뢴 성균관 전적 이종준의 상소문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