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강설단고유문(周岡設壇告由文)
-모계 김홍락(某溪 金鴻洛)
益齋 先生(익재 선생)
顯久文忠麗代名臣功尊位重行高學純餘事文章冠于我東十年旄邱一片貞忠名動華夏皇倭惟崇知鑑孔昭屢感宸衷○源流長爰及圃翁睠彼宜萶枚屨攸經徃在玄○遠近殫誠營築堂宇潗潗告成倣古滄洲祗幣爲儀○之禮經久行未宜乃於今秋㪅築壇壝式薦明侑時日俱良洋洋如在對越耿光猗歟慵齋配享一堂式尊匪懈其永無窮
右益齋李先生
(상세해제)
고려말엽 문충공(文忠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선생의 문장과 행덕(行德)에 대해 의령(宜寧)지방의 사림들이 단비(壇碑)를 건립하고 용재를 배향(配享)할 때의 고유문이다.
http://www.ugyo.net/yk/hejNew/hejKisa.jsp?B_SUJI_ID=KSAC_M_A00600047&B_BOOK_ID=KSAC_T_A00600047_001&B_KWON_ID=002&B_STYLE_ID=007
慵齋 先生(용재 선생)
天啓文名 宣陵戚際猗歟先生{亻+畢}門高弟才兼三絶學實九流瑞世風彩弘壁天球揚于王○一心啓沃世値百六封豕流毒黨錮之○酷於東京爰䀈忘軒同時就桁奉承慈命不負孟博聞風今日廉頑敦薄惟玆周岡子姓攸宅肆築壇壝是奉是崇益翁并腏赫赫西東洋洋如在感㘦微哀自今世世永矢無窮
右慵齋李先生
(상세해제)
점필재(佔畢齋)의 문인으로 재질이 빼어난 용재(慵齋) 이 선생이 온갖 간난(艱難)을 극복한 훌륭한 인물이었는데 자손들이 단비를 건립하고 익재(益齋)를 아울러 모실 때의 고유문임.
http://www.ugyo.net/yk/hejNew/hejKisa.jsp?B_SUJI_ID=KSAC_M_A00600047&B_BOOK_ID=KSAC_T_A00600047_001&B_KWON_ID=002&B_STYLE_ID=008
*모계문집 인(某溪文集 仁) > 某溪文集卷之二 > 告由文 周岡設壇告由文
◈모계집(某溪集)은 모계(某溪) 김홍락(金鴻洛)의 文集이다.
○김홍락(金鴻洛) 1863~1943(철종 14~1943). 字:우경(羽卿), 號:모계(某溪), 本貫:의성(義城), 父:진억(鎭嶷), 母:여산 송씨(礪山 宋氏), 居:안동(安東).
'유적지 유물 > 의성◆양산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현당기(景賢堂記) 역문 -문소(聞韶) 김홍락(金鴻洛) (0) | 2023.07.09 |
---|---|
주강단(周岡壇) (0) | 2019.03.07 |
[디지털양산문화대전] 주강정사(周岡精舍) (0) | 2019.03.07 |
경의재기(景義齋記) 역문 -영양(永陽) 이태용(李泰龍) (0) | 2019.03.07 |
경의재상량문(景義齋上樑文) 역문 -속함(速咸) 박세환(朴世煥) (0) | 2019.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