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월성군파조(月城君派祖)
월성군(月城君). ○충렬왕시(忠烈王時)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삼중대광(三重大匡) 광정대부(匡靖大夫) 성서도성좌복야(尙書都省左僕射) 봉월성군(封月城君). ○월성군파조(月城君派祖)로 부안(扶安, 전북 부안군) 진양서원(津陽書院)에 배향(配享). ○종예(宗裔) 이종순(李鍾醇) 제단비명(祭壇碑銘).
○配는 김씨(金氏) 정(貞)의 女.
*[출처]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세보(月城君派世譜)
이지수(李之秀)
이지수(李之秀, 생몰년 미상)는 고려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월성군(月城君)에 봉군(封君)되었으며 본관(本貫)은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이알평(李謁平)의 57대손이자 신라(新羅) 소판(蘇判) 이거명(李居明)의 21대손으로, 아버지는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충요(忠堯)이고, 할아버지는 진사(進士) 분(賁)이며 증조부(曾祖父)는 진사(進士) 창규(昌規)이고, 고조부(高祖父)는 극랑(克良)이다.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이신우(申佑)의 9대손이자 그의 장남(長男) 천호(千戶) 작랑(作良)의 8대손이었다.
삼중대광(三重大匡)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내고 월성군(月城君)에 봉군(封君)되었으며 광정대부(光正大夫)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르렀다. 사후 묘소(墓所) 실전(失傳)으로 충남 논산군 연산읍 어은리에 단(壇)을 설립하고 제향(祭享)한다.
후에 이지수(李之秀)의 장남(長男)인 정렬공(貞烈公) 이규(李揆)가 원나라에 억류된 충숙왕(忠肅王)의 화를 면케 하여 공신(功臣)이 되고, 지수(之秀)의 차남(次男) 진(縉)은 이등공신(二等功臣)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다.
*위키백과
'주요인물 (一) > 월성군◇이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이씨대동보] 문열공 이충요(李忠堯) 처부 이정무(李貞茂) (0) | 2023.07.23 |
---|---|
월성군 단소(충남 논산) (0) | 2019.03.03 |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월성군(月城君) 제단비명(祭壇碑銘) 병서(并序) (0) | 2018.12.10 |
월성군 이지수 가계도(月城君 李之秀 家系圖)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