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글의서(醫書)의 국어사적 가치
배준영
Bae Jun-young
Korea University (Sejong)
Index
1.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개념
2. 한글 의서의 종류와 역사적 변천
3. 실물로 보는 한글 의서의 내용과 언어적 특징
4. 한글 의서에 나타난 어휘적 변화
'주요인물 (二) > 용재공◆이종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이씨종보 역사탐구] “부도(不道) 은폐 모함, 충신 이종준(忠臣 李宗準)을 처형하다” / 이상우 편집위원 (1) | 2025.01.03 |
---|---|
[경주이씨종보 논단] 조선왕조실록 공개, 족보가 혼란을 겪고 있다 / 이상우 편집위원 (1) | 2025.01.03 |
[조선의서지] 032.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0) | 2024.01.26 |
<고의서산책/ 1088> - 『神仙太乙紫金丹』② (0) | 2024.01.19 |
<고의서산책/ 1087> - 『神仙太乙紫金丹』①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