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공(慵齋公) 12세손 만오공(晚悟公) 이상현(李相鉉)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①참봉공(參奉公) 윤공(胤恭) → 3世孫 ①천사공(川沙公) 환(煥) → 4世孫 금역당공(琴易堂公) 복창(復昌) → 5世孫 ②통정공(通政公) 의달(義達) → 6世孫 ④춘식(春植) → 7世孫 系子 예석(禮錫) → 8世孫 삼우(三友) → 9世孫 ②제권(悌權) → 10世孫 ①광진(光震) → 11世孫 주호(周顥) → 12世孫 만오공(晩悟公) 상현(相鉉) |
晚悟處士月城李公行狀 幷序
(만오처사월성이공행장 병서)
-聞韶(문소) 金鴻洛(김홍락) 謹狀(근장)
公諱相鉉。字聖任。自號晚悟。李氏貫慶州。新羅佐命㓛臣謁平。其始祖也。自後。世襲圭組。勝國時。有諱之秀。官金紫光祿大夫。月城君。入本朝。有諱繩直。官慶尙道觀察使。至大司憲。生諱時敏。進士。號琴湖。有文學重望。一方士論。欲配丹溪河先生彰烈祠。而未果。生諱宗凖。官湖堂。贈副提學。世稱慵齋先生。於公爲十二代祖。高祖諱友三。曾祖諱悌權。祖諱光震。隱德不仕。考諱周顥。妣義城金氏。櫝巖齋養厚女。純廟丁丑二月二十二日。生公于汾川里第。神彩俊秀。器宇宏深。見者莫不稱賞。旣上學。不煩教督。而藻思日就。諸父兄。皆期擬之不淺。旣長。遂刻意用工。有聲藝苑。與一時諸名勝。徃来從遊。如趙小竹 東淳。洪蘭軒蘭燮。徐硏雲 昶輔諸公。皆以知禮推公。而爲莫迸友。又與頤齋權先生交厚。筍束候問。盖無虛月矣。篤於彛倫。事親盡志軆之養。前後遭艱。哀毀踰制。旣葬。阆風雨。不廢省墓。䘮餘之日。致其如在之誠。慵齋先生衣履 之藏。在於安東之金溪里。自戊午禍後。孱孫㪚處。奠掃之禮。守護之節。幾至廢焉。公生屢世滄桑之餘。時寓興州之乾臯。而先壠來徃。殆無間月。積費心力。買置田宅。禁護松楸。嚴立節目。永爲定式。西山先生。歎賞不已。作鴨脚樹四䪨詩。以贈之。當時諸名碩。皆聞而次之。盖鴨脚樹。本琴湖公手植。而前丙子夏。爲野火所燒。公蒼黃顛倒而來見。慟哭連日。築壇植木。見者莫不愴然。光武乙未二月十七日。考終于寢。享年七十九。墓廣回里西岡向午原。配晉州姜氏。桓女。貞敏公恰後。媲德無違。先公十五年卒。墓乾井古臺洞酉坐原。男斗炯。女權鍾和金輝庚。斗炯男在昌。女金晩秀金元模。在昌男錫鎬成鎬。餘不錄。公生文獻古家。天禀旣異。而資之以麗澤講劘之力。知得益贍冨。見得益精明。義所當爲。勇徃直前而不少懈。義所不爲。逡巡畏縮而不自居。日用事行。皆從孝友誠勤中出。而無一毫假借而爲之者。以故。先世未遑之事。至於公而始乃樹立。石氏之太淸。甄氏之思亭。更帶舊日影響。盖其坯㙸之篤。其來有自。而天之所以生公於公家者。豈偶然也哉。不侫童丱時。拜公於西山丈室之席。時。公己白首矣。望其容貌之秀偉。聽其議論之宏辨。不問可知爲溫人莊士。而中心艶誦。尙此未已矣。轉眄 之頃。已爲六十有年矣。迺者。其曾孫錫鎬。持遺事一通。來囑不侫。曰惟此金溪一區。即吾先祖世居之地。仕望一壑。亦吾家之薧里也。曾王考一生頻臨。杖屨經履之地。尙今依然。不覺感淚交零矣。竊惟詳吾曾考事實者。環顧一世。無如此村長德今欲鋟布遺集。而記德之狀。迄未成。願惠以一言。不侫辭以匪堪而不獲。則遂櫽案本。而叙次如右。至於垂辭立言傳諸乆遠。不侫非其人。以竢當世秉筆君子之有所裁正云爾。柔兆困敦。淸明節。通政大夫。前行弘文館侍講。兼知制誥。聞韶。金鴻洛。謹狀。
*만오공일고(晩悟公逸稿) > 晩悟公逸稿卷之二 > 附錄 > 行狀
http://www.ugyo.net/yk/gds/gdsKisaView.jsp?B_SUJI_ID=KSAC_M_A04000011&B_BOOK_ID=KSAC_T_A04000011_001&B_KWON_ID=005&B_STYLE_ID=005&iPage=1&B_KISA_ID=00077
●만오처사월성이공행장 병서 역문
(晚悟處士月城李公行狀 幷序 譯文)
-문소(聞韶) 김홍락(金鴻洛) 근장(謹狀)
공의 휘는 상현(相鉉)이요, 자는 성임(聖任)이며 호는 만호(晚悟)다. 경주이씨(慶州李氏) 신라(新羅) 좌명공신(佐命㓛臣) 알평(謁平)이 그 시조(始祖)가 되고 후세(後世)로부터 대대로 벼슬을 계승하니 지수(之秀)는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봉월성군(封月城君)이요, 조선(朝鮮)에 들어와 휘 승직(繩直)은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로 대사헌(大司憲)에 이르렀고 아들 휘 시민(時敏)은 진사(進士)에 호는 금호(琴湖)니 문학(文學)으로 높은 명망이 있었고 사론(士論)에서 단계하선생창렬사(丹溪河先生彰烈祠)에 일향 코자 했으나 목적을 이루지 못하다. 아들 휘 종준(宗凖)은 벼슬이 호당(湖堂)에서 부제학(副提學)을 증직(贈職) 받으니 세상이 용재선생(慵齋先生)이라 부르니 공에게 12대조가 된다.
고조의 휘는 우삼(友三)이요, 증조의 휘는 제권(悌權)이며 조의 휘는 광진(光震)이니 덕(德)이 있으면서 은거(隱居)해 벼슬을 아니 하였고 고의 후는 주호(周顥)요, 비(妣)는 의성김씨(義城金氏) 독암(櫝巖) 재양후(齋養厚)의 따님이다. 순묘(純廟) 정축년(丁丑年, 1817년) 2월 22일에 분천(汾川) 자택에서 출생하니 신채(神彩)가 준수(俊秀)하고 기국(器局)이 크고 깊으니 보는 자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글을 배움에 가르치는데 독려(督勵)를 아니 하여도 문장(文章)이 날로 발전하여 모든 부형(父兄)의 바람이 크더니 장성함에 뜻을 세워 공부에 힘을 쓰니 명성이 예원(藝苑)에까지 들리다. 한때 명사(名士)로 왕래하며 교류하니 소죽(小竹) 조동순(趙東淳)과 난헌(蘭軒) 홍난섭(洪蘭燮)과 연운(硏雲) 서창보(徐昶輔) 제공(諸公) 같은 이가 다 예(禮)로써 공을 추대하여 막력한 벗이 되었고 또 이재(頤齋) 권선생(權先生)으로 더불어 사귐이 두터워 자주 안후(安候)를 물어 거르는 달이 없었다. 인륜에 독실(篤實)하여 부모를 섬기되 뜻과 몸을 봉양하는데 극진하였고 부모 사후 슬퍼함도 망극함이 비할 곳 없었으며 장례 후에는 바람과 비에도 성묘를 그치지 아니하고 부모님이 항상 옆에 계신 것같이 정성을 쓰다. 용재선생(慵齋先生) 묘소가 안동(安東) 금계(金溪)마을에 있는데 무오사화후(戊午史禍後)로 쇠잔(衰殘)한 후손들이 자처에 흩어져 살아 전소(奠掃)의 예(禮)와 수호하니 절차까지 거의 폐지할 지경에 이른지라.
공이 여러 대를 창망(滄茫)한 뒤에 태어났고 흥주(興州) 건고(乾臯)에 살면서 선조 묘소에 왕래하기를 한 달도 거른 일이 없고 집과 전지(田地)를 마련하여 송추(松楸)를 보호케 하여 절차를 엄중히 세워 길이 수호케 하니 서산(西山) 김선생(金先生)이 감탄하여 압각수(鴨脚樹, 오래된 늙은 은행나무를 말함)에 관한 사율(四律)을 지어주니 모든 명석(名碩)들이 이 소문을 듣고 차운(次韻)을 하다. 압각수(鴨脚樹)는 본시 금호공(琴湖公)이 손수 심었는데 전 병자년(丙子年) 여름에 불에 타니 공이 창황전도(蒼黃顛倒)하면서 와보고 연일 통곡하고 단을 쌓아 나무를 다시 심으니 보는 자 감탄하지 않은 이가 없었다. 광무(光武) 을미년(乙未年, 1895년) 2월 17일 침소에서 별세하니 향년(享年)이 79라. 묘소는 광회리(廣回里) 서쪽 언덕 자좌(子坐)에 있다.
배(配)는 진주강씨(晉州姜氏) 환(桓)의 따님이고 정민공(貞敏公) 흡(恰)의 후손으로 부덕이 장하였다 한다. 공보다 15년 먼저 졸하니 묘는 건정고대동(乾井古臺洞) 언덕 유좌(酉坐)에 있다. 아들은 두형(斗炯)이요, 따님은 권종화(權鍾和)·김휘경(金輝庚)에 출가하고 두형(斗炯)의 아들은 재창(在昌)이요, 따님은 김만수(金晩秀)·김원모(金元模)에 출가하였고 재창(在昌)의 아들은 석호(錫鎬)·성호(成鎬)니 나머지는 수록하지 않는다.
공이 명문거족(名門巨族)의 후예(後裔)로 태어나 천품(天稟)이 남달리 고우며 너그럽고 윤택하며 덕(德)을 쌓고 배우는데 항상 열중하니 아는 것이 풍부하고 보는 것이 더욱 맑고 밝아서 의리에 마땅히 할 일을 용감히 앞에 서서 조금도 게을리 아니하고 의리에 맞지 않는 일은 행하지 않으며 날로 행하는 일은 효도하고 우애하고 성실하고 부지런한데 있고 터럭만치라도 거짓과 꾸밈이 없으니 이런고로 선대들이 못하던 일들을 공에 이르러 비로소 성취하니 석씨(石氏)의 태청공(太淸宮)과 견씨사정(甄氏思亭)의 옛날 모습을 다시 연상케 되니 그 하고자 하는 성의의 독실(篤實)함이 그 유래가 하늘이 공을 공의 집에 내린 것이 우연함이 아닐진대 내가 어릴 때 서산(西山) 선생댁에서 공을 뵈었는데 그때 공이 이미 백발이라 그 용모의 수련함을 보고 그 의론의 넓고 풍부함과 깊음을 들었을 때 온인장사(溫人莊士)임을 알아서 인상 깊이 마음속에 간직한 바 있었는데 눈 깜짝할 사이에 60여 년이 지났도다.
그 증손 석호(錫鎬)가 유사(遺事) 한 통을 가지고 나를 찾아와서 말하기를 이 금계(金溪) 한 구역이 우리 선조 대대로 살던 터이고 사망동(仕望洞) 한 골짜기 또한, 우리 집 저승 마을이라 증조부 일생 자주 오셔서 지팡이 집고 밟던 땅이 오히려 완연히 느끼는 옛날 생각과 흐르는 눈물을 깨닫지 못하니 나의 증조부 사실을 아는 분이 세상을 돌아보아도 이 마을 장덕(長德)만 함이 없다 하면서 그 어른의 행장(行狀)을 지어달라고 원하니 내가 감당치 못한다. 사양을 하다 못하여 드디어 유사한 본을 인용 위와 같이 적노니 글과 말을 잘 다듬어서 오래도록 전하는 데는 내가 그 적임이 못되니 후세(後世) 붓을 잡는 군자(君子)가 재정(裁正)있기를 기다리노라.
유조곤돈(柔兆困敦)*) 청명절(淸明節)
通政大夫 前行弘文館侍講 兼知制誥 聞韶 金鴻洛 謹狀
통정대부 전행홍문관시강 겸지제고 문소 김홍락 근장
----------------------------
*) 유조곤돈(柔兆困敦) : 병자년(丙子年). 유조(柔兆)는 고갑자(古甲子)에서, 십간(十干)의 셋째를 이르는 말. ‘병(丙)’과 같고 곤돈(困敦)은 고갑자(古甲子)에서, 십이지(十二支)의 첫째를 이르는 말. 곧 ‘자(子)’를 이른다.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보(月城君派譜)
'자료게시판 > 기◆행장◆비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사공 16세손 선전관공 이재훈] 慶州李氏鼎珉錄 v2 跋(경주이씨정민록 v2 발) (0) | 2018.11.08 |
---|---|
[판사공 14세손 유은공 이준구] 幽隱公墓誌銘(유은공묘지명) <역문> (0) | 2018.11.08 |
[용재공 12세손 만오공 이상현] 晚悟處士月城李公墓誌銘(만오처사월성이공묘지명) 幷序(병서) <역문> (0) | 2018.11.08 |
[용재공 12세손 만오공 이상현] 晚悟處士月城李公墓碣銘(만오처사월성이공묘갈명) 幷序(병서) <역문> (0) | 2018.11.08 |
[용재공 12세손 만오공 이상현] 晚悟齋記(만오재기) <역문> (0) | 201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