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송재집송재이우

송재집(松齋集) 범례, 해제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2. 6. 20:56

송재집(松齋集)


▣범례

○ 本集은 松齋 李堣(1469 : 睿宗1 ~ 1517 : 中宗12)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自編稿本이 毁失된 후 從子 滉이 自編稿本에서 抄出한 詩集에 年譜 등을 作成하여 編輯한 定稿本을 1584年 外後孫 牧使 吳澐이 忠州에서 木板으로 刊行한 原集과, 12代孫 元魯가 家藏草本을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900년 木板으로 刊行한 續集으로 되어 있다.
○ 分量은 原集 2卷ㆍ續集 3卷 合 2冊으로 總 144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 : 奎6530)으로서 半葉은 10行 18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8.8×15(㎝)이다.



형태서지

권수제: 송재시집(松齋詩集)
판심제: 松齋
간종: 목판본(木版本)
간행년: 1584年刊(原集)ㆍ1900年刊(續集)
권책: 原集 2권ㆍ拾遺ㆍ目錄ㆍ續集 3권 합 3책
행자: 10행 18자
규격: 18.8×15(㎝)
어미: 上下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도서번호: 奎6530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17



저자

성명: 이우(李堣)
생년: 1469년(예종 1)
몰년: 1517년(중종 12)
자: 明仲
호: 松齋
본관: 眞寶



▣가계도

府使 李禎(부사 이정)
  └進士 李繼陽(진사 이계양) ═ 英陽金氏(영양김씨) 副司直 金有庸(부사직 김유용)의 女
       ├進士 李埴(진사 이식)
       └松齋 李堣(송재 이우) ═ 月城李氏(월성이씨) 生員 李時敏(생원 이시민)의 女
             ├察訪 李壽苓(찰방 이수령)
             ├女 ═ 郡守 曺孝淵(군수 조효연)
             └女 ═ 縣監 吳彥毅(현감 오언의)


*기사전거 : 墓碣識(李滉 撰)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예종

1

 1469

 기축

成化

 5

1

 4월 14일, 慶北 禮安縣 溫溪里에서 태어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18

 청량산 安中寺에서 洪彥忠ㆍ黃孟獻과 독서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19

 月城 李氏와 결혼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20

 5월, 부친상을 당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23

가을, 龍山 地藏菴에서 독서하며, 李賢輔와 강론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24

생원시에 합격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30

 文科 丙科에 합격하여 承文院 權知正字가 되다. ○ 弘文正字가 되다.

연산군

5

1499

기미

弘治

12

31

 가을, 예문관검열 겸춘추관기사관이 되다.

연산군

6

 1500

 경신

弘治

13

32

 여름, 待敎가 되다. ○ 겨울, 奉敎가 되다.

연산군

7

1501

신유

弘治

14

33

成均典籍 兼南學敎授가 되다. ○ 8월, 사간원 정언이 되어 柳子光을 탄핵하고 사직하다. ○ 겨울, 이조좌랑이 되다.

연산군

8

1502

임술

弘治

15

34

아들 李壽苓이 태어나다. ○ 兄 李埴가 卒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17

36

1월, 사간원 헌납이 되어 供佛에 대한 論啓로 파직되다. ○ 2월, 병조정랑 지제교가 되다. 度僧 및 政事問題를 論하는 箚子와 闢佛疏를 올리다. ○ 6월, 江原道摘奸御史, 慶尙道右道點馬御史로 나가다.

연산군

11

1505

을축


18

37

여름, 사헌부 장령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귀향하다. ○ 7월, 春秋館校史官을 겸하다. 곧 奉常寺僉正이 되다. ○ 9월, 사간원사간 지제교가 되다.

연산군

12

1506

병인

正德

1

38

撰進廳에 入參하다. 書筵에 進講하다. ○ 여름, 軍器寺副正이 되다. ○ 7월, 승정원동부승지 지제교 겸춘추관 수찬관이 되다. ○ 9월, 중종 즉위 후 奮義靖國功臣 承政院右副承旨 兼經筵參贊官 春秋館修撰官에 錄功되고 靑海君에 봉해지다. ○ 겨울, 晉州牧使가 되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39

晉州 靑谷寺에서 독서하다.

중종

4

1509

기사

正德

4

41

8월, 동지중추부사가 되어 還朝하다. ○ 經筵特進官에 差任되다. ○ 겨울, 호조참판 겸오위도총부부총관이 되다.

중종

5

1510

경오

正德

5

42

여름, 형조참판이 되다. ○ 10월, 강원도 관찰사가 되다.

중종

6

1511

신미

正德

6

43

東原守 金士衡과 함께 「虛庵遺稿」를 간행하고 序를 쓰다. ○ 〈關東行錄〉을 짓다.

중종

7

1512

임신

正德

7

44

親老로 사직하고 禮安으로 돌아가다. ○ 慶尙道觀察使, 寧海府使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다.

중종

8

1513

계유

正德

8

45

봄, 金海府使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다. 〈歸田錄〉을 짓다. ○ 「東國史略」(2권)을 찬하다. ○ 顯德王后復昭陵輓章을 製進하다.

중종

9

1514

갑술

正德

9

46

2월, 중종반정 시에 승지로서 공은 없고 허물만 있다고 하여 勳資가 깍이다. ○ 9월, 〈自明疏〉를 올리고 이어 折衝忠義衛上護軍에 제수되다.

중종

10

1515

을해

正德

10

47

봄, 淸涼山을 유람하다. ○ 6월, 安東府使가 되다.

중종

11

1516

병자

正德

11

48

〈字民樓記〉를 짓다.

중종

12

1517

정축

正德

12

49

8월, 金安國과 함께 鄕校에서 講하다. ○ 11월 8일, 官에서 병으로 卒하다. 禮安 溫溪에 묻히다.

중종

13

1518

무인

正德

13

-

李沆이 묘지명을 짓고 崔淑生이 묘갈명을 짓다.

선조

17

1584

갑신

萬曆

12

-

外從孫 吳澐이 文集을 간행하다.

현종

8

1667

정미

康熙

6

-

淸溪書院에 배향되다.

고종

37

1990

경자

光武

4

-

胄孫 李元魯가 續集을 간행하다.

-

-

1937

정축

-

-

-

祀孫 李鍾洙가 續集을 補充하고 別集 1책을 간행하다.


기사전거 : 年譜ㆍ年譜別本에 의함

 

편찬및간행

저자의 遺稿는 原集은 재화에 유실되고, 조카 退溪 李滉이 原集 중에서 手書해 둔 詩集 1권이 남아 있었는데, 退溪는 여기에 자신이 지은 墓誌ㆍ年譜 및 李沆이 지은 묘지명과 崔淑生이 지은 묘갈명을 拾遺하여 家藏하였다.

1584년에 이르러 外從孫 吳澐이 이 手抄本을 간행한 것이 初刊本이다. 이것은 오운이 忠州牧使로 부임할 때 퇴계의 문인인 鄭琢으로부터 간행을 권유 받아 재임하는 동안 완성한 것으로, 申用漑의 關東錄跋을 本集 1권 〈關東行錄〉 뒤에 붙이고 集末尾에 오운이 지은 詩集跋과 鄭琢이 오운에게 준 詩 3편을 붙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그 후 1900년에 12대손 李元魯가 續集 2권ㆍ附錄 1책을 간행하였다. 이는 李元魯가 후손가에 소장되어 있는 저자의 詩ㆍ序ㆍ記 몇 편과 先賢遺錄에 있는 저자와 관계된 기사를 수집하고 從後孫 李中麟의 校讎를 받아 간행한 것이다. 이때 初刊本을 그대로 重印하고 目錄만을 첨부하여 합 3책으로 만들었다.

1937년에는 祀孫 李鍾洙가 別集을 간행하였다. 別集은 年譜別本과 詩ㆍ疏ㆍ狀ㆍ箚ㆍ啓 등 저자의 시문과 附錄으로 敎書ㆍ賜祭文ㆍ神道碑銘을 싣고 후손 李厚翼과 祀孫 李鍾洙의 跋을 붙여 3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李鍾洙가 지은 跋에 의하면, 저자와 관련된 기록을 뽑되 家藏의 기록과 諸賢이 贈ㆍ次ㆍ敍述한 글은 續集에 첨입하고 國朝實錄에서 채록한 저자의 立朝 始末 기록과 敎書ㆍ賜祭文 및 神道碑銘(金寗漢 撰)은 別集에 부록하였다. 한편 續集에 실려 있던 丙寅靖國의 事實은 年譜別本에 옮겨 싣고 大東韻玉 辨誣 時 실은 諸家의 글은 속집에 追附하였으며 또한 저자의 日記〈甲子年(1504) 1月~丙寅年(1506) 3月〉에 나온 기사는 年譜別本에 편입시켰다. 따라서 別集 간행 시에는 續集도 재편집하여 간행하였으며 다만 本集은 애초 退溪의 手本을 중히 여기는 뜻에 따라 그대로 두고 新本인 續集ㆍ別集을 合하여 三集을 완비한 것이다.

본서의 저본은 1584年刊 原集과 1900年刊 續集이 合本된 규장각장본이다.



구성과내용

본 문집은 原集 2권과 拾遺, 續集 2권과 附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原集 권1은 關東行錄으로 1510년(중종 5)부터 1511년까지 저자가 강원도 관찰사로 나가 있는 동안 관동지방을 유람하며 지은 10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뒤에는 二樂亭 申用漑가 지은 關東錄跋이 있다. 권2는 歸田錄으로 1512년(중종 7)에 사직하고 고향인 禮安에 머물러 있으면서 지은 12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拾遺에는 崔淑生ㆍ金安國과의 次韻詩 등 약 20수와 〈自明疏〉 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조카 李滉이 지은 年譜와 墓碣識, 李沆이 지은 墓誌銘, 崔淑生이 지은 묘갈명이 실려 있다. 本集 끝에는 外從孫 吳澐이 간행하면서 지은 跋文과 藥圃 鄭琢의 手筆 詩 3편이 그대로 摹刻되어 있다.

續集에는 本集에 없던 目錄이 권수에 첨부되었고 이에 續集의 目錄이 실려 있다. 권1에는 詩 20여 수가 실려 있는데 輓詩ㆍ次御製詩 등이 포함되어 있다. 권2는 文으로 序 1편, 記 2편이 실려 있다. 권3은 附錄으로 강원도 관찰사로 나갈 때 받은 敎書와 續集 간행 시에 從後孫 李彙載가 지은 遺事 및 遺事摭錄이 실려 있는데, 摭錄은 丙寅靖國의 사실이 기록된 海東名臣錄ㆍ宣城邑誌ㆍ鄭虛庵師友錄ㆍ東史ㆍ陰厓日錄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사를 뽑아 編次한 것이다. 권미에는 續集의 편간을 校讐한 從後孫 李中麟이 1900년에 지은 識와 12대손 李元魯가 지은 跋이 실려 있다.


ⓒ 한국고전번역원 | 오세옥(吳世玉) | 1991
*출처: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096A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96A_0010_010_0010_2003_A017_XML